영어 문자소와 음소에 대해 : pure sounds|phonemes & graphemes|#다중문자, #옥스포드파닉스, #영국영어발음, #영국파닉스, #음소, #순수음은 어떻게 발음할까?
영어에서 파닉스의 정체와 순수음, 다중문자, 음소, 문자소에 대해 알아보자.
- 순수음
- 스피드사운드 (다중문자)
- 소리를 단어로 만들기 (음소 & 문자소)
- 영어, 정말 제대로 하고 있을까?
- 파닉스를 pl, tr 등의 묶음으로 외우고 있지는 않은가?
- 나라마다, 심지어 지역마다 다른 소리와 문자표기... 과연 마스터는 가능한가?
- 원어민 선생님이 ee 사운드, oo(긴,짧은)사운드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뭔가 원어민들만의 파닉스 공부가 있구나 번쩍 생각이 들어 공부를 시작한 지가 벌써 몇 년이 지났다.
- 나의 결론은, 파닉스는 도저히 끝낼 수 없다.
- 우선 원어민이 하는 기본 공부를 따라하고, 그들의 책과 영상을 읽어보기로 했다.
pure sound | 순수음
What is a pure sound?
순수음이란?
Pure sound in phonics is the pronunciation of each letter sound clearly and distinctly without adding additional sounds to the end. For instance, the /f/ sound is pronounced as 'f' and not 'fuh. - twinkl.co.uk
파닉스에서의 순수음은 끝에 음을 추가하지 않고 각 문자의 소리를 명확하고 뚜렷하게 발음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f/ 소리는 'fuh'가 아니라 'f'로 발음됩니다.
How to pronounce pure sounds?
순수음은 어떻게 발음할까?
speed sounds
What are the speed sounds?
스피드 사운드란?
There are 12 Set 2 'speed sounds' that are made up of two or three letters which represent just one sound, e.g. ay as in play, ee as in tree and igh as in high. It is important that your son/daughter does not pronounce these as 2 or 3 separate sounds.
단 하나의 소리를 나타내는 2~3개의 문자로 구성된 12개의 세트 2 'speed sounds(속도 소리)'가 있습니다. ay는 play처럼, ee는 tree처럼, igh는 high처럼. 자녀가 이 소리를 2~3개의 분리된 소리로 발음하지 않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처럼 스피드 사운드는 다중문자와 관련이 있다.
Set1~3 모두에서(총 62개) 삼중자는 5개, 사중자는 1개, 오중자는 1개 정도 나온다.
다중문자
두 개 이상의 문자열로 하나의 음소를 나타내는 것을 뜻한다. 영어에서 'th'로 쓰고 [θ]라고 읽는 것이 그 예. 두 개 이상의 문자를 쓰더라도 각각의 문자에 해당하는 음소를 모두 읽어주면 다중문자라고 부르지 않는다. 예컨대 영어에서 'tr'와 같은 표기는 (비록 /t/가 변하긴 하나) /tr/로 각각 읽히는 자음군이므로 다중문자가 아니다. 한편 베트남어에서는 같은 표기 'tr'을 /tʂ/로 발음하기 때문에 다중문자이다.
앞에 붙는 숫자는 그리스어 접두사를 사용해 'digraph, trigraph, tetragraph, pentagraph...' 식으로 올라간다. 이것들을 포괄해서 다중문자라고 하기는 하지만 대부분은 이중문자(digraph)이며 삼중, 사중문자부터는 지극히 적다. 영문 위키백과에서는 칠중문자(heptagraph)까지 예를 들고 있는데 러시아 문자 'щ'를 독일어에서 'schtsch'로 적은 것을 소개했다. 이곳 나무위키에서도 'digraph'라는 단어는 열 개의 문서 정도에서 간간이 나타나지만 'trigraph'부터는 전혀 나타나지 않는다.[2] 역링크는 digraph 문서 쪽에도 많은 편이다.
다중문자의 발생계기
1) 글자 수의 부족
라틴 문자는 워낙 많은 언어권에서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많은 언어권에서 라틴 문자의 기본 글자만으로 각 언어의 음소를 모두 표현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새로이 한 글자를 추가하지 않고서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책으로 글자 위에 부호(diacritic)를 쓰거나 여러 글자를 합쳐서 하나의 음소로 사용하는 식의 방편을 활용하는 것. 특히 모음은 라틴 문자에서 5개밖에 없기 때문에 대부분의 언어에서 부호 혹은 다중문자를 활용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문제는 라틴 문자 문화권이 아닌 곳에서 해당 언어를 라틴 문자로 전사할 때에도 발생한다.
2) 부호를 컴퓨터로 입력하기 어려움
오늘날에는 컴퓨터상으로 부호를 입력하기 어렵기 때문에 본래 부호를 덧붙여 썼던 것을 다중문자로 전환하는 일도 있고 이러한 표기법을 공식화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o'에 움라우트가 붙은 'ö'가 독일어에서 사용되는데, 움라우트를 적지 않고 'oe'로 적기도 한다(Goethe-Göthe 등)[13]. 한국어에서도 매큔-라이샤워 표기법에서 'ㅓ, ㅡ'를 'ŏ, ŭ'(o, u with breve)로 적다가 국어의 로마자 표기법에서 다중문자인 'eo, eu'로 전환하였다. 이처럼 한국어 로마자 표기법에 부호와 다중문자 사이에 어느 것이 더 나을 것인가 하는 논의가 있다.
에스페란토에서도 다중문자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지만 곡절 부호가 붙은 다섯 글자(Ĉ, Ĝ, Ĥ, Ĵ, Ŝ)와 단음 부호가 붙은 한 글자(Ŭ)를 입력하기 어려운 때가 있어 cx, gx, hx, jx, sx, ux 식으로 에스페란토에 사용되지 않는 글자 X를 붙여서 적기도 한다.
이외에도 역사적 언어 변화, 외래어 표기 전사 등의 원인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한다.
- 출처: 나무위키
Making sounds into words | 소리를 단어로 만들기
phonemes 음소
one of the smallest units of speech that make one word different from another word
한 단어를 다른 단어와 다르게 만드는 가장 작은 말 단위 중 하나입니다.
언어학 전공이 아니므로 여기에 많은 정보를 녹여낼 수 없어 간략하게 풀면,
음소를 단어로 나타내는 법 정도로 할 수 있겠다.
음소 ☞ 소리를 나타내는 글자(문자소)
Oxford Owl 사이트에서 제공하고 있다.
옥스포드 올빼미 : 파닉스 (oxfordowl.co.uk)
Oxford Owl: Phonics
cdn.oxfordowl.co.uk